안녕하세요. 옥포부자아빠입니다. 최근 유행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주의 문자 사례 3가지 안내합니다. 참고해 주세요.!!
1. 보이스피싱 주의 문자 안내
'무조건 피해야 할' 보이스피싱 전화, 문자, SNS 사례들을 안내드립니다.
다음과 같은 내용의 문자나 전화에 대해서는
→ 즉시 진행을 중단하시고,
→ 출처를 알 수 없는 링크(URL)의 경우 절대 누르지 마시기 바라며,
→ 혹시 '링크(URL)'를 누르신 경우에는 '악성 앱'이 고객님의 통화를 가로챌 수 있으니 통화 발신에 특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2. 보이스 피싱 사례
[정부기관 사칭]
⚠️귀하는 정책지원금 신청대상자입니다. 아래 URL로 지원하시기 바랍니다.
[ 금융기관 사칭]
⚠️[XX은행] 저금리 대환대출 1억까지 가능.
고객센터 000-xxxx-xxxx
[택배사 사칭]
⚠️배송이 시작되었습니다.
배송조회 http://www.xxx.xx
⚠️[해외결제] 575,000원 결제 완료.
고객센터 080-xxx-xxxx
3. 유의사항/신고방법
1.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는 개인의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므로, 이와 같은 요구가 있다면 의심하고 조심해야 합니다.
보이스피싱은 최근에 많이 일어나는 금융범죄 중 하나입니다. 보이스피싱이 의심스러운 경우, 즉시 해당 금융기관과 관련 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. 이에 추가적으로 경찰서, 검찰, 금융감독원에도 신고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개인정보 노출이 의심되는 경우 금융감독원 사고예방시스템에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. 이를 통해, 다른 분들이 같은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습니다.
개인정보 보호와 금융범죄 예방을 위해서는, 이러한 안내사항을 지속적으로 유의하고, 의심이 가는 경우 즉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2. 보이스피싱이 의심스럽거나 피해가 발생한 경우, 즉시 각 금융기관, 경찰서(☎112), 검찰(☎1301), 금융감독원(☎1332) 신고하시고, 개인정보 노출이 의심되는 경우 금융감독원 사고예방시스템(pd.fss.or.kr)에 등록하시기 바랍니다.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는 개인의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므로, 이와 같은 요구가 있다면 의심하고 조심해야 합니다.
댓글